2010년 10월 22일 금요일

네트워크를 대한 기초적인 용어

1. Sub Network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세팅해 보면 서브넷 마스트라는 것을 세팅해야한다.

서브 네트워크는 하나의 네트워크를 여러 물리적,논리적 네트워크로 나누어 쓰기 위해 만든것으로 서브 네트워크란 많은 네트워크 단위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것이다.

 

2.Host ,Peer

Host-각각의 시스템을 의미한다.즉,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컴퓨터 시스템 하나 하나를 호스트라고 생각하면 된다.

Peer(피어)-일종의 논리적 개념이다. 피어는 네트워크의 끝,즉 종단점을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호스트 A와 호스트 B가 통신을 할 경우 네트워크의 각 종단점 (피어)은 호스트 A와 호스트 B가 된다.Peer to Peer 란 각 종단점을 연결한다는 의미로 호스트가 서버에 의지하지 않고 직접 통신을 하는것 을 말한다.

3.LAN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우리말로 표현하면 "근거리 네트워크"이다. 즉 LAN은 근접한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해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것을 의미한다.

4.Packet(패킷),Protocol(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는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아야만 한다. 사람과 사람이 말로 자신의 뜻을 전달하듯이 네트워크에서는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데, 이러한 데이터의 묶음을 패킷이라곻 나다.

즉 팻킷은 편지의 뭉치 등으로 생각할수 있다.

 

프로토콜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만든 것이 바로 프로토콜이다(컴퓨터간에 정보를 주고받을 때의 통신방법에 대한 규칙과 약속)

정보기기 사이 즉 컴퓨터끼리 또는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 등에서 정보교환이 필요한 경우, 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정한 여러 가지 통신규칙과 방법에 대한 약속 즉, 통신의 규약을 의미한다.

통신규약이라 함은 상호간의 접속이나 절단방식, 통신방식, 주고받을 자료의 형식, 오류검출방식, 코드변환방식, 전송속도 등에 대하여 정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기종()이 다른 컴퓨터는 통신규약도 다르기 때문에, 기종이 다른 컴퓨터간에 정보통신을 하려면 표준 프로토콜을 설정하여 각각 이를 채택하여 통신망을 구축해야 한다. 대표적인 표준 프로토콜의 예를 든다면 인터넷에서 사용하고 있는 TCP/IP가 이에 해당된다.

정보통신의 상대방은 일반적으로 원격지에 있다. 따라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정보를 전기적인 신호의 형태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신호가 통신망을 통해 흐르도록 하는데, 통신망에는 정상적인 신호의 흐름을 훼방하는 여러 가지 현상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정확한 정보의 전송을 방해하여 도중에 오류가 발생되는 원인이 된다.

프로토콜이라는 규약의 집합 속에는 이러한 오류에 대응하기 위한 약속이 대단히 중요하다. 또한 정보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송수신 개체 간에 서로 정보의 전송 시점과 수신 시점을 맞추는 일(동기화)도 수행해야 하고, 정보 흐름의 양을 조절하는 흐름 제어방법도 역시 사전에 약속하여 프로토콜 속에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오류제어, 동기, 흐름제어, 코드변환, 전송속도 등에 대한 약속 이외에도 통신하는 상대방의 위치에 따라 통신 개체가 어느 OSI 계층에 있는 가와 효율적인 정보전송을 위한 기법, 정보의 안전성(보안)에 관한 약속들도 프로토콜의 범주에 포함되어야 한다.

 

5.NIC(Network interface card)

네트워크상에서 다른 컴퓨터 시스템에 데이터를 보내거난 받을 때 사용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말한다. 이런 종류의 하드웨어는 모뎀이나 랜카드 등이 해당되는데, 각각의 NIC는 자신에게 주어진 유일한 식별 번호를 가지고 있다. 이 식별 번혼는 네트워크에서 아주 중요하게 쓰인다.

 

6.NDIS(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

Microsoft사와3Com사가 개발한 것으로 네트워크 장치의 드라이버를 연결하는 일종의 인터페이스이다. 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프로그래머는 상대 시스템의 장치의 종류에 상관없이 NDIS만 호출하여 프로그래밍을 할수 있도록 한다.

 

7.Checksum(체크썸)

데이터의 수신과정에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했는지 확인하는 작업이다. 송신측에서 데이터를 보낼 때 디지털의 데이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고, 이 신호는 통신 케이블을 통해 전달된다. 통신 케이블은 어떤한 종류랃도 주위의 간섭으로 인해 신호가 바뀌어 데이터가 유실되거난 변할 수 있기 땜누에 송신측은 체크썸을 통해서 받은 데이터의 비트 수를 체크한다.전달된 결과가 참이라면 참이라면 데이터는 오류가 없는것으로 간주된다.

 

8.Deamon(System Deamon)

데몬은 일종의 백그라운드 작업(Background process)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네트워크에서의 데몬은 대부분이 서버인데, 서버는 보통 사용자의 접근을 계속해서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이 필요하다.윈도우즈 서버 패밀리는 각종 데몬들이 시스템 윈도우즈 부팅과 동시에 실행되는 telnet,ftp,http등의 잘 알려진 서버들이 모두 데몬이다.

 

9.inetd

데몬은 항상 서버에서 실행된다. 데몬이 실행되면 시스템의 자원을 소비하는데, 많은 수의 데몬이 동싱에 실행되면 상당한 자원이 낭비된다. 즉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접근이 언제 이루어질지 모르므로 항시 대기하고 있어야만 한다. 하지만 언제 접근할지도 ,어느 정도의 숫자가 접근할지도 모른다. 심한 경우 하루에 단한번 접근 하지 않을 수있다. inetd는 이런 데몬들이 시스템 자원들을 쓸데 없이 낭비하지 않도록 교통 정리하는 하는것으로 inetd역시 데몬의 일종이다.inetd는 클라이언트의 접근이 있으면 그때서야 필요한 데몬을 실행 시킨다. 즉,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해 주는 데몬이다.

 

10.Hop(hop count)

홉(hop)은 하나의 링크를 의미한다.링크란 네트워크 내에서 경유하게 되는 하나의 단계를 의미한다.예를 들어 송신측을 출발한 패킷은 몇번의 라우터를 거쳐 수신측에 이르는데,여기에서 각 라우터를 링크라고 생각하면된다.따라서 hop을 많이 거칠수록 목적지를 찾는데 오래 걸린다는 의미가 된다. 홉 카운트(hop count)는 패킷이 목적지까지 도착하는 데 경유하는 링크의 수를 의미한다.홉 카운트는 패킷의 헤더에 기록되는데 라우터는 보통 이 홉 카운터를 체크해서 비정상적으로 높은 패킷은 삭제를 해서 더 이상 네트워크상에서 돌아다니지 못하게 막는다.이는 네트워크의 리소스가 목적지를 잃은 비정상적인 패킷들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막아 네트워크의 자원을 관리하려는 것이다.

특히 스트림 패킷 (보통 TCP)의 경우에는 보통 목적지 까지 의 경유가 유지되지만 데이터그램 패킷(보통 UDP)의 경우에 는 길을 잃은 패킷이 많으므로 홉 카운트의 관리는 필수적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