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한 썰 제가 프로그래밍을 처음 공부하던 시기인 97년에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 Oriented Programming. 이하 OOP)은 단연 화두였습니다.
이번 챕터에서는 지금은 당연히 여겨지고 있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그 3대 특징(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3대 원칙이란, 추상화, 캡슐화(은닉화), 다형 성(상속)을 말합니다) 이라 불렸던 것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2) 추상화 (Abstraction) OOP에서는 모든 사물을 객체로 보기로 했다고 했었죠? 만약 여러 가지 자동차의 전, 우, 좌, 우 사진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에서, 자동차를 객체로 구성한다고 해 봅시다.
자동차의 엔진, 타이어, 연료탱크 등 큰 구성요소를 포함해 나사 하나 하나와 그 나사들이 사용되는 위치까지 세세한 모든 정보를 구현하는 것은 힘듭니다.
그래서, 자동차 클래스에 자동차의 사진을 보여주기 위한 정보인 차 종류, 전, 우, 좌, 우 사진 정보, 차의 크기 등 보여줄 요약된 정보만 가지고 있기로 했습니다.
enum CAR_DIRECTION{ CARDIRECTION_FORWARD = 0, CARDIRECTION_BACKWARD, CARDIRECTION_LEFTSIDE, CARDIRECTION_RIGHTSIDE, };
struct CCarImgInfo { CAR_DIRECTION m_CarDirection; char *m_pCarImagePtr; int m_iCarSize; }; class CCar { private: CCarImgInfo *m_pcCarImgInfo; //간략화 된 자동차 이미지 정보의 링크드 리스트 };
이렇듯 어떤 것을 객체로 만들 때, 필요한 정보만 간추려 구현 하고, 중요하지 않은 부분을 추상화 하는 것을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에서의 추상화라고 합니다.
(3) 캡슐화 (Encapsulation) 캡슐화란 무엇일까요? 우리는 캡슐 안에 담긴 감기약을 먹을 때 어떤 성분의 약이 들어있는지, 그 성분이 어떤 효과를 내는지를 알 필요 없습니다. 우리는 단지 그 약을 먹으면 감기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고 복용할 뿐이죠.
OOP에서의 캡슐화도 비슷한 의미로, 어떤 객체를 사용할 때, 이 객체가 어떤 일을 하는지 알고 사용만 하면 되도록, 감싼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예를 들어, 가속이라는 메소드가 있을 때, 이 메소드를 사용하면 가속이 될 거라는 사실만 알면 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내부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알 필요가 없다는 것이죠.
class CCar { private: //차가 동작되기 위한, 각종 메소드와 멤버 public: BOOL Accelate(); //이 메소드를 호출하면 자가 가속된다 };
이와 함께, 은닉(consealment)이란 것도 있는데, 외부에 메소드만 제공하고, 멤버로의 접근을 메소드를 통해서만 하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데이터를 변경할 때는 Setter (SetXX), 데이터 값을 얻어올 때는 Getter (GetXX)로 말이죠.
class CTemp { private: int m_iValue; public: void SetValue(int value){m_iValue = value;} //Setter int GetValue(){return m_iValue;} //Getter };
캡슐화를 하다 보면, 메소드의 사용법만 알려주기 때문에, 자연스레 메소드 이외에는 데이터 변경을 불가능하게 만들어, 은닉이 이뤄지는 경우가 많기에 캡슐화와 은닉을 묶어서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4) 다형 성 (Polymorphism) 다형 성이란, 같은 종의 생물이지만, 모습이나 고유한 특징이 다양한 성질을 말합니다. OOP에서의 다형 성이란, 같은 이름 혹은, 같은 종류 (같은 클래스를 상속 받거나, 같은 성질을 가진 것) 가 다른 동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C++에서는 가상 함수와 함수 재정의 (함수 오버라이딩. 함수 오버로딩과는 전혀 다른 의미입니다), 템플릿이 다형 성을 구현합니다.
템플릿은 C++에서 다형 성을 구현한 방식 중 하나입니다. 템플릿이란, 데이터 타입에 구애 받지 않고 동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먼저 템플릿 함수부터 알아보겠습니다. 템플릿 함수란, 매개변수의 타입에 상관없이 동작할 수 있는 범용적인 함수를 의미합니다. template<typename T> T Multiple(T Num) { return Num * Num; }
void main() { int age = 5; float weight = 45.7f; printf("%d * %d = %d\n", age, age, Multiple(age)); printf("%f * %f = %f\n", weight, weight, Multiple(weight)); }
위 코드는 템플릿 함수를 이용한 코드입니다. 위 코드의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5 * 5 = 25 45.700001 * 45.700001 = 2088.490070
만약, 템플릿을 이용하지 않았다면 int형 매개변수를 받고 int형을 리턴 하는 함수와, float 형 매개변수를 받고 float 형을 리턴 하는 함수 두 개가 필요했겠죠? int Multiple(int Num) { return Num * Num; }
float Multiple(float Num) { return Num * Num; }
여기서 주의할 점은, T형 (임의의 데이터 형)의 데이터가, 함수 내에서 사용하는 연산자나 메소드가 존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template<typename T> T Multiple(T Num) { return Num * Num; }
class CTemp{ int m_iValue; };
void main() { CTemp cTemp; Multiple(cTemp); }
위 코드를 컴파일 하면, error C2676: binary '*' : 'CTemp' does not define this operator or a conversion to a type acceptable to the predefined operator
CTemp 자료 형에, * 연산자가 정의되어있지 않다는 에러를 반환하며 컴파일 되지 않습니다.
템플릿 클래스도 이와 비슷합니다. template<typename T> class CTemp { T Num1; T Num2; public: CTemp(T size1, T size2){ Num1 = size1; Num2 = size2; } T Multiple() { return Num1 * Num2; } };
void main() { int size1 = 10, size2 = 20; CTemp<int> cTemp(size1,size2); printf("%d * %d = %d",size1,size2,cTemp.Multiple()); }
템플릿 클래스의 객체를 생성할 때, 임의의 자료 형(CTemp<int>에서 넘긴 int를 의미)을 넘기면, 임의의 자료 형(typename T)으로 선언되었던 멤버들이 어떤 자료 형을 가질지 결정 됩니다.
템플릿 클래스 역시 템플릿 함수와 마찬가지로, 템플릿 클래스 안에서 template로 지정된 자료 형으로 사용한 메소드나, 연산자를 가진 자료 형만 넘겨 받을 수 있다는 점 잊지 않으셔야 합니다.
다음으로, 가상 함수와 함수 재정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 두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속을 이해해야 합니다.
상속이란, 부모 클래스로 지정된 클래스의 속성을 물려받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class CParent { protected: int m_iParentMember; public: void Init(); };
메소드 하나와, 멤버 하나를 가진 CParent라는 부모 클래스가 있습니다.
class CChild : public CParent { protected: int m_iChildMember; public: void Act(); };
CChild클래스가, CParent 클래스를 상속 받아 생성 되었습니다. 이렇게 상속 받아 생성된 CChild 클래스는
class CChild { protected: int m_iParentMember; int m_iChildMember; public: void Init(); void Act(); };
상속 받지 않고 선언된 위 클래스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같은 기능을 하는 여러 개의 클래스가 생성 될 경우, 하나의 부모 클래스를 상속 받음으로써 중복을 제거 할 수 있습니다.
그 뿐만 아니라, 부모 클래스의 포인터에, 자식 클래스의 포인터를 담을 수 있습니다. CParent *pcParentPtr = new CChild;
CChild는 CParent의 일종이며, CParent의 특성을 상속 받았기 때문에 같은 종류로 보기 때문입니다.
이런 관계를 Is-A (CChild Is CParent) 관계라고 합니다.
상속을 하는 이유는 클래스 별로 다른 동작을 정의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CParent를 조금 변경 해봅시다. class CParent { protected: int m_iParentMember; public: virtual void Init(); };
void CParent::Init() { m_iParentMember = 0; printf(“CParent::Init()\n”); }
위 코드를 보시면, Init함수가 가상 함수로 선언 되었습니다.
class CChild : public CParent { protected: int m_iChildMember; public: virtual void Init(); void Act(); };
void CChild::Init() { m_iChildMember = 0; printf(“CChild::Init()\n”); }
CChild 클래스에서, Init 함수를 재 정의 했습니다. 이런 경우라면, CParent 클래스 객체의 경우 CParent클래스의 Init함수가, CChild 클래스 객체의 경우 CChild클래스의 Init함수가 호출 됩니다.
만약 CChild클래스에 Init 함수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두 클래스 모두 CParent 클래스의 Init 함수가 호출 되겠죠.
CParent cParent; CChild cChild; cParent.Init(); cChild.Init();
위 코드의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CParent::Init(); CChild::Init();
이 것을 이용하면 클래스마다 같은 함수를 호출했음에도 클래스별로 다르게 동작 시킬 수 있게 되죠. 이 렇게 하위 클래스에서 재 정의 할 수 있게 정의한 함수를 가상함수라 합니다.
class CParent { protected: int m_iParentMember; public: virtual void Init() = 0; };
이렇게 바꿀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CParent 클래스의 객체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Init 함수 호출 시 실행할 함수 정의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구현 없이 정의만 되어있는 함수를 순수 가상함수라고 부릅니다. 또한 순수 가상함수로만 이뤄져 클래스마다 갖춰야 할 기본 구조를 정의 한 클래스를 인터페이스라고 부르죠.
함수 재정의도 가상함수와 비슷한 다른 의미입니다. 따지고 보면, 가상 함수도 함수 오버라이딩이라고 볼 수 있죠. 그런데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class CParent { protected: int m_iParentMember; public: void Init(); };
void CParent::Init() { m_iParentMember = 0; printf(“CParent::Init()\n”); }
위 코드를 보시면, Init함수가 선언 되어 있습니다.
class CChild : public CParent { protected: int m_iChildMember; public: void Init(); void Act(); };
void CChild::Init() { m_iChildMember = 0; printf(“CChild::Init()\n”); }
위 코드는 기본적으로 가상 함수로 선언된 것과 같은 동작을 합니다.
CParent cParent; CChild cChild; cParent.Init(); cChild.Init();
위 코드의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CParent::Init(); CChild::Init();
가상 함수와 동일하게 동작하죠? 하지만, 결정적으로 다른 차이가 있습니다.
CParent *pcParent1 = new CParent; CParent *pcParent2 = new CChild;; pcParent1->Init(); pcParent2 ->Init();
위 코드의 경우 함수 재정의 (함수 오버 라이딩)과 가삼함수가 다르게 동작합니다.
다음은 가상 함수일 때의 결과입니다. CParent::Init(); CChild::Init();
함수 재정의일 때의 결과입니다. CParent::Init(); CParent::Init();
가상 함수는 실제로 이 클래스가 어떤 클래스인지를 판단해 함수를 실행하지만, 함수 재정의는 상위 클래스의 포인터에 담겨있는 경우, 하위 클래스의 함수를 부를 수 없습니다.
함수 재정의는 가상 함수와 포인터로 호출 시에만 차이점을 가지지만, 가상 함수와 사용될 상황이 다릅니다.
부모 클래스의 정의가 자식 클래스의 요청에 따라 변하는 것은 좋지 않은 동작입니다. 좋지 않음을 떠나서 부모 클래스가 라이브러리에 선언된 클래스인 이유 등으로 불가능한 경우도 있죠.
아시다시피 가상함수는 부모 클래스에서 virtual 키워드로 정의되어 있어야 합니다. virtual 키워드로 선언되지 않은 함수를, 부모 클래스를 변경하지 않고, 자식 클래스에서 같은 이름의 함수를 만들어 동작 시킬 때 함수 재정의를 이용하면 됩니다.
저는 함수 재정의보다 가상 함수를 훨씬 더 선호하는데, 그 이유는 함수 재정의는 직관적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부모 클래스만을 보고, 이 함수가 하위 클래스에서 재정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없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함수 재정의는 위에서 언급한 특별한 이유를 제외하고선 배제되어야 할 요소입니다.
가상 함수와, 함수 재정의는 같은 종류 (같은 클래스에서 상속을 받거나, 부모와 자식 관계인)의 클래스에서 같은 이름의 함수를 호출 시 각기 다른 함수를 호출하게 해줌으로 다형 성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다형성은 가상 함수와 함수 재정의를 통해 같은 메소드를 호출 할 때, 클래스 별 다른 동작을 가능케 함으로 객체에 자연스럽게 특성을 부여했으며, 템플릿을 통해 범용 성을 구현했습니다.
(5)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한 이해 제가 처음 프로그래밍 공부할 때 한창 클래스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죄악이라 여겨지던 시기였던 데다, 주변에서 하도 클래스 극찬을 해서, 구조체를 거치지 않고 클래스를 사용했었습니다. 클래스를 쓰긴 쓰는데, 객체지향에 대한 개념도 안 잡혔을 뿐만 아니라, 프로그래밍 개념 조차 잡지 못했던 시기에 성급한 도입은 아무 의미가 없었죠.
저는 클래스를 두 개 만들면 되지, 왜 상속 받는지 이해를 못했었습니다. 템플릿도 그냥 다섯 중복을 왜 제거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던 것이죠. 어떻게 해야 유지보수에 용이한지도 몰랐죠.
결국 나중에 구조적 프로그래밍으로 프로그램을 작성하던 중 여러 가지 문제에 봉착하게 되고, 그런 문제들을 해결 하던 중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 왜 좋은가를 이해하게 되고, 그제서야 클래스를 사용할 줄 알게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구조적 프로그래밍이 등장하던 이전에, goto문의 재앙이라 불릴 정도로 프로그램의 동작 순서를 이해하기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구조적 프로그래밍이 등장하게 됐죠.
구조적 프로그래밍이 뭐냐고요? 구조적 프로그래밍이란 명확한 제어 구조를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기본적으로 프로그램의 수행되는 코드의 순서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반복 문이나, 조건 문을 통해서만이 흐름 제어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프로그래밍 방식이었습니다.
주로 Dos시절부터, 초기의 국내 윈도우 게임은 구조적 프로그래밍으로 짜여있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문제점은 프로그램의 덩치가 커졌을 때 대두되었습니다. 구조적 프로그래밍에서 핵심이 되는 것은 순차적인 구조를 갖추고, 흐름 제어를 단순히 하는 것이기 때문에, 코드가 방대해졌을 때, 새로운 코드를 추가하기 힘들었습니다. 이미 현재 요구사항에 맞게 만들어진 순차적인 흐름 속에 코드를 끼워 넣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죠. 거기에다 핵심은 요구사항에 맞게 동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동작이 이뤄지는 방식에 대해선 천차만별이었습니다. 그 개념을 코드 작성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 이해하긴 힘든 문제가 있었습니다.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유지보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원하던 사람들에게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그 대안으로 주목 받게 되었습니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사물을 객체로 본다는 얘기는 구현 대상을 자신이 원하는 단위로 쪼개서 개별적으로 생각해보자는 이야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그렇게 분리한 객체들의 상호작용을 자연스럽게 하는 것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목적이죠. 또한, 객체 관점에서 자신이 할 일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자판기에서 음료수를 뽑아 먹는 과정을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으로 구현한다고 해봅시다. 여기서 필요한 객체는 간소화한다 해도 음료수, 동전, 자판기, 사용자는 필요할 것입니다.
음료수는 자판기나, 사용자가 소유할 객체입니다. 이런 관계를 Has-A 관계(자판기 Has 음료수 또는, 사용자 Has 음료수)라고 하고, 음료수 자체가 어떤 동작을 하진 못합니다. 그렇기에 음료수 객체는 메소드를 가지지 않아야 합니다. 동전도 음료수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나 자판기가 소유할 객체죠.
사용자의 관점에서는 동전을 자판기에 투입하고, 원하는 음료수의 버튼을 누른 후 음료수를 꺼내가는 메소드 등이 있을 것입니다.
자판기 관점에서는 동전이 들어왔을 때, 이 동전이 통용 가능한 동전인지 여부를 검사하고, 음료수 버튼이 눌렸을 때 현재 투입된 돈이 충분한지, 음료수의 재고가 있는지를 검사하는 과정이 있을 것입니다.
이 구매 과정을 행하는 주체는 사용자입니다. 그래서 사용자의 동전 투입 메소드를 호출하면, 사용자는 자판기에게 동전 객체를 전달하게 되고, 자판기는 그 동전 객체를 받아 현재 투입된 금액을 갱신하는 방식의 상호작용을 할 것입니다.
객체가 어떻게 사용될 것인가 하는 문제는, 현실과 최대한 비슷하게 동작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장점은 모든 사물을 객체로써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객체간의 상호작용을 현실 세계에 가깝게 구현함에 있다고 여깁니다.
현실 세계에서의 해당 동작을 떠올리면서 그대로 구현하며 되기 때문에 좋은 구조에 대한 이상향을 쉽게 세울 수 있고, 그렇게 작성된 프로그램 구조는 직관적이게 되기 때문에, 코드를 분석하고, 기능을 추가 하는 것이 쉬워지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어느새 이런 장점들을 실감한 많은 사람들에게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당연한 것이 되었고, OOP를 사용하지 않으면 죄인이라도 되는 양 여겨지는 경우도 있었다고 하더군요.
정말 OOP를 사용하지 않으면 죄인이 되는지는 모르지만, 저도 현재 OOP를 사용 하고 있고, 많은 사람들에게 이 것이 당연시 여겨지는 것을 보면 OOP는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더 좋은 방식으로의 자연스러운 과정이었던 것 아닐까요? --------------------------------------------------------------- *참고 서적 - 캠퍼스 C/C++. 추윤식 저. - The C++ Programming Language. Bjarne Stroustroup 저.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