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마인드를 바꾸자
누구에게나 하루는 24시간 입니다. 똑같이 주어져 있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업무시간 내내 집중력을 발휘 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중요한 건 한 시간을 일 하더라도 얼마만큼 집중력 있게,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는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버그가 없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 하다는 것을 인지해야 합니다. 버그를 줄이려는 노력은 당연하지만, 버그 0%에 도전하기 위해 몇 달 몇 일 테스트만 주구장창 하는 것은 비 효율적입니다.
일에는 우선 순위를 두는 것이 좋습니다. 여러 개의 버그를 동시에 수정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발생 빈도가 높고, 프로그램이나 컴퓨터가 비정상 종료 되는 등의 치명적인 문제는 최우선적으로 해결 해야 합니다.
모든 사용자를 만족시키기란 애초에 불가능합니다. 그렇게 때문에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대상 사용자 층에 대해 명확히 파악하고 다수의 사용자를 만족시키는 선을 유지 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반복 작업을 줄이자
업무에 좀 더 집중 하기 위해서는 수작업을 줄여야 합니다. 프로그래밍을 할 때 부가적인 작업을 해주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시에 설정해주어야 하는 ini파일이나, 빌드 된 파일들을 개발 및 테스트 버전으로 옮기는 작업은 배치 파일을 이용해서 자동화 하는 것이 좋습니다.
스키마나, 클래스 설계, 클래스 구조 등을 문서화 해 두어야 하는 경우에도 툴 등을 통해서 자동화 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전에 책에서 본 툴 중에 클래스의 멤버를 관리하는 툴이 있는데, 언어를 지정하고 Output 버튼을 누르면 해당 언어의 규격에 맞는 클래스 구조가 출력 창에 나오는 툴이 있었습니다.
출력 창에 나온 내용을 그대로 붙여 넣기만 하면 클래스 하나가 생성 되죠.
출력 창 말고, 파일로 만드는 건 어떨까요? 구현까지 자동화하기는 쉽지 않기에, 헤더 파일로만 생성 해도 되겠죠?
자~ 툴을 조금 더 손을 봐서, 자동으로 문서화 규격이나, UML 다이어그램으로 뽑아내는 기능까지 넣어두면 문서화 문제도 해결 됩니다.
스키마 변경 시에도 같은 방법을 적용할 수 있겠죠? 변경될 스키마를 실제로 적용하기 위한 쿼리를 생성하고, 문서화 규격에 맞춰 출력해준다면 역시 여러 번에 거쳐 이뤄질 작업을 한번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여기서 더 편리해지려면 DB에 실제로 접속해서 쿼리를 날려주고, 실제 문서에 자동으로 적용 시켜주도록 만들 수도 있겠죠?
이처럼 작업량을 줄이기 위한 자동화는 반복 작업을 줄여, 중요한 작업에 집중력을 높일 수 있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3) 코드의 중복 제거하라
우선 중복된 코드를 없애야 합니다. 똑 같은 코드는 두 곳에 존재하면 안됩니다. 같은 클래스에 동일한 동작이 있다면, 함수로 만들어 그 함수를 호출 하도록 해야 합니다.
상속도 코드 중복을 제거 하기 위해 유용한 요소입니다. 같은 부모클래스를 상속 받은 경우, 상속 받은 클래스에서 같은 코드가 추가 되어야 할 경우, 부모 클래스에만 추가해주면 중복이 제거 될 수 있습니다.
다른 프로젝트에 중복되는 코드가 있을 때는 어떻게 할까요? 그럴 때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함으로써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습니다.
(4) 범용 코드를 작성하라
다양한 상황에서 잘 돌아갈 수 있는 코드를 작성해야 합니다. 해당 코드가 수행 되기 전에,선행 되어야 하는 작업이 많으면 많을수록 코드 변경은 힘듭니다.
화면에 로고가 뿌려지는 데이터를 가진 로고 클래스 초기화를 하기 위해서는, 로고 데이터를 읽어올 데이터 관리자 클래스가 먼저 초기화 되어야 합니다. 이런 정도의 초기화 순서는 필연적인 부분이죠.
여기에 로고 클래스 초기화를 하기 위해서, 드로잉 클래스도 초기화 해야 된다고 하면 문제가 조금 더 복잡해집니다.
드로잉 클래스는 화면 장치 클래스를 먼저 초기화 한 후 화면 장치 클래스의 포인터를 멤버로 가져야 합니다. 화면 장치 클래스가 초기화 되기 위해서는 윈도우가 생성 된 후 그 윈도우 핸들을 받아야 하죠. 이런 식으로 초기화 순서가 정해져 버리면 특정 클래스가 추가 될 때 초기화 순서의 변동이 있게 되면 클래스 하나가 추가 되는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에 작성해둔 코드를 변경해야 되는 사태가 생기게 됩니다.
게다가 특정 클래스의 멤버를 받는 경우라면, 다른 프로그램에서 재사용하기도 힘들어집니다. 그 클래스는 이 프로그램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전용 클래스가 되어 버리는 것이죠. 코드 재사용은 물 건너 간지 오래가 되어버렸습니다.
물론 전용 클래스는 필요합니다. 범용 성을 위해 효율, 작업 시간, 유지보수가 힘들어 지는 상황을 만들기 보다, 현재 프로그램에 적합한 전용 클래스 하나를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가능하다면 재사용을 위해 범용적인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부분의 프로그래머는 재 작업을 싫어합니다. (물론, 저도 그렇습니다) 같은 코드를 여러 번 작성하는 일은 따분하기 그지 없습니다. (비슷한 일을 여러 번 하는 것과는 다른 의미입니다)
그런 따분하고 지루한 일을 하지 않기 위해서 범용 코드를 작성하도록 노력해야 하겠죠?
(5) 메소드 명은 직관적으로 지어라.
함수는 함수 이름에 해당하는 일만 하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BOOL isFriend()로 정의된 함수는 친구인지 여부만을 반환해야지, 친구일 때 이뤄지는 액션까지 이뤄지면 안됩니다.
BOOL isFriend() { //처리 코드. } |
친구일 때 이뤄지는 행동은 BOOL ProcessFriend() 등의 함수를 통해 이뤄져야 합니다.
BOOL ProcessFriend() { if(!isFriend()) return FALSE; //처리 코드 } |
자신이 작성한 코드를, 자신만 보게 된다는 편견을 버려야 합니다. 또한 자신만 보는 코드라 할지라도, 몇 년 전은 물론이고, 몇 개월 전에 작성한 코드도 잘 기억이 나지 않는 경우가 많죠. 그렇기 때문에 주석이 달려있지 않더라도 알 수 있는 직관적인 메소드 명을 가져야 하는 것입니다.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변수 명은, 이 변수가 담고 있는 데이터가 무엇인지 바로 알아 낼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int iUserCount; |
라고 선언된 변수가, 아이템 개수를 저장하고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뇌 단련에 있는 테스트 중에, 글씨 이름(검정, 노랑, 파랑 등)과, 글씨 색깔을 불일치 하게 해놓고, 글씨 이름을 읽게 하는 테스트가 있는데,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자신도 모르게 글씨 색깔대로 말해 버리게 됩니다. 코드를 분석 할 때도 자연스레 변수들이 변수 명에 해당 하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기 쉽기 때문에, 코드를 잘못 이해해서 실수를 하게 되거나, 코드 분석에 필요한 시간을 많이 낭비하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됩니다.
또한, 어떤 일을 하는 변수 명인지 명확히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친구 수를 세는 변수를 선언해 봅시다.
int iCount; |
iCount와 같은 변수명보다는, iFriendCount처럼 직관적인 변수 명이 좋습니다.
int iFriendCount; |
개수를 세는 일이 친구의 수 하나만이 아니게 될 때에 이미 만들어둔 iCount 변수의 이름을 직관적으로 변경해주어야 해당 변수가 하는 일을 바로 이해할 수 있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직관적으로 코드를 작성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차후에 유지보수 할 때 시간낭비를 막을 수 있습니다.
(6) 상수를 애용하라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수에 기반하기 때문에, 문자열도 숫자로 가지고 있습니다. (ASCII, Unicode 등의 값) 화면에 뿌려질 영상 데이터도 모두 숫자로 가지고 있죠.
그런데 이 수라는 것이 참 애매모호해서, 255, 0, 255라는 RGB값보다 분홍색이란 표현이 더 이해하기 쉽고, 192.168.0.1인 IP 보다, elky라는 네트웍 이름이 더 외우기 쉽습니다.
프로그래머라고 딱히 수랑 더 친한 것은 아니죠. (가끔 카누스 교수님처럼 수와 친한 분들이 계시긴 하지만요)
RECT형 데이터 3개를 담은 배열이 있습니다.
RECT m_Rect[3]; //RECT형 데이터가 3개 담긴 배열 선언 |
3개의 원소에 무엇이 담겨져 있는지 알 수 없습니다. 0번째가 무엇인지는 주석으로 달거나, 외부 문서를 참조하거나, 직접 실행 보아야 알 수 있죠.
enum RECT_TYPE { RECTTYPE_CLIENT = 0, }; |
이처럼 상수로 지정해서, 배열 맨 앞에 담긴 값이 일러스트라고 알려주는 것이 더 이해하기 쉽습니다.
코드를 보고 아 m_Rect의 배열 첫 번째 원소에는 클라이언트 영역이 저장된 정보가 들어 있구나 하고 바로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이 생기게 되는 것이죠.
자주 변경 되거나, 외부 데이터를 읽어서 처리 되는 경우에는 상수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코드 내에 정의된 상수 변경 시에는 다시 컴파일 해주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런 경우에는 CFG, 스크립트 등을 사용해 리소스를 관리를 함으로써 문제 해결 하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